-
LG 최신 DLNA TV로 즐기는 애니 라이프~컴퓨터 2016. 7. 15. 22:56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은 LG의 최신 TV로 집에서 DLNA를 구성하여 멀티미디어를 즐기게 되어 이에 대해 글을 써볼까 합니다.
DLNA는 쉽게 말해 가전 기기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받아볼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얘기합니다. 표준 자체는 꽤 오래된 기술이라고 합니다. 구체적인 구현 내용은 각 가전 기기 벤더사에 맡기고 있기 때문에 DLNA를 지원하는 기기라도 브랜드에 따라 지원하는 동영상의 범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저는 애니메이션을 좋아하기에 그 동안 컴퓨터에 TV를 모니터처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이럴 경우 화면만 TV에서 나오고 소리는 PC 스피커로 나오기에 주 스피커를 TV쪽으로 돌리는 작업이 너무 귀찮았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플스4를 사게 되면서 TV의 HDMI 포트가 모자라게 되었고 그래서 아예 TV도 바꿔보자 싶어 LG 2016년형 TV를 샀습니다. 모델은 43UH6810으로 인터넷 판매 전용입니다. 원래 LG BESTSHOP에서 사려고 했는데 DLNA 기능이 되는 모델이 제일 싼게 170여만원 한다고 해서 인터넷으로 주문했습니다. 그래도 당분간은 저녁은 라면으로 때워야 될 것 같습니다. ^^
DLNA를 사용하려면 컴퓨터를 DLNA 서버로 만들던가 미디어 서버 기능을 지원하는 NAS 장비가 있으면 됩니다. 저의 경우 백업용으로 WD의 my Cloud 3TB 모델이 있어 TV에서 바로 인식 및 연결이 가능했습니다. 네트워크는 유선 기가 비트를 지원하는 공유기와 Cat. 7 랜선으로 연결하여 절대 끊어짐이 없도록 하였고 TV는 무선랜 11n (5GHz) 방식으로 연결하여 최상의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였습니다.
LG TV는 DLNA를 스마트 쉐어라고 부르는데 메뉴는 다음 사진과 같은 메뉴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web OS로서 버전은 3으로 알고 있습니다.
메뉴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미디어 서버 목록이 나옵니다. 저의 경우 이름을 DivaCloud로 지어놨기 때문에 그 안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LG TV의 경우 동영상 자체의 확장자는 avi, mp4, mkv를 가리지 않고 재생 가능합니다. 2016년 모델이기 때문인지 상당히 많은 종류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습니다. 재생 안 되는 동영상은 TV의 os에서 지원하지 않는 인코딩으로 되어 있다고 보면 됩니다. 또한 다른 분들이 올린 DLNA TV 사용기에서는 smi 확장자가 안 된다는 분도 있지만 web OS 3에서는 정상적으로 읽어들입니다. 하지만 골 때리게도 SMI라고 대문자로 되어 있으면 못 읽습니다. ^^;; 자막 파일 인코딩은 euc-kr이든 utf-8이든 안가리는 훌륭한 부분이 있으면서도요. 이 부분은 패치 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애니메이션의 구분선이라든가 색감적인 면에 있어서는 TV쪽이 월등합니다. 특히 1080p 영상보다는 720p 영상이 더 혜택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두 개는 1080p 영상을 사진을 찍어본 것입니다.
<TV 경우> <모니터 경우>
아래 두 개는 720p 영상을 사진 찍어본 것이고요.
<TV 경우> <모니터 경우>
물론 TV는 4K고 모니터는 2560 * 1080 (21:9 와이드) 이며 프레임을 다 담기 위한 사진의 각각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1:1 비교는 어려울 수 있지만 TV로 보는게 훨씬 영상이 살아있다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아직 여러가지 보완할 부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애니메이션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금액에 비하면 훨씬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저는 컴퓨터와 TV가 연결하는 선이 없어져도 제가 원하는 영상을 볼 수 있어 너무 좋습니다.
* 이 포스트는 절대 후원받지 않았습니다. 다 개인돈으로 사고 경험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